가상 인프라

과천 서충주 고속도로를 보완해 보았습니다

빛더리움 2023. 7. 3. 21:21
728x90

 설계속도 180km/h는 오버스펙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. 해당 노선 보완의 초점은 서충주까지 제안된 노선을 괴산까지 연장하여 중부내륙고속도로에 연결, 동시에 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 이남 구간을 확장하는 것에 두었습니다.

1. 노선명
   고속국도 제43호선 과천괴산고속도로
   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-김천 6차로 확장
 
2. 노선의 목적 및 설명 :
   민간투자사업 이야기가 나온 과천-서충주 고속도로를 보완하여 괴산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직결되도록 했습니다.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괴산분기점부터 김천분기점까지 6차로 확장 및 제한속도를 120km/h로 상향하고 6차로 확장은 터널 구간의 경우 1차로+넓은 갓길 터널을 양 옆에 추가로 굴착하는 형태로 합니다.
   광주-영암 초고속도로 관련 기사를 보고 영감을 얻어 제한속도 상향에 방점을 두고 가상노선을 만들어 보았습니다. 설계속도가 10 높아질 때마다 건설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데, 그럼에도 수요가 충분하여 검토할 만하다고 느껴진 간선노선이 과천-괴산구간이었습니다.
 
3. 길이: 114km
 
4. 차로수: 왕복 6차로
 
5. 설계속도
 1) 과천-수지 100km/h
 2) 수지-괴산 180km/h
 3) 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-김천 120km/h
 
6. 출입 시설
 1) 괴산분기점(중부내륙선)
 2) 동음성IC - 36번 국도[충청대로]
 3) 서충주분기점(평택제천선)
 4) 일죽장호원IC - 38번 국도[서동대로]
 5) 모가분기점(중부선)
 6) 백암하이패스IC - 321번 지방도[곡현로]
 7) 서이천분기점(영동선)
 8) 모현분기점(세종포천선)
 9) 동분당죽전IC - 43번 국도[포은대로]
 10) 수지분기점(경부선)
      *노선도처럼 동천금곡으로 하려고 했으나 수지분기점이 더 적절한 것 같아 바꿨습니다.
 11) 서분당분기점(용인서울선)
 12) 과천IC - 309번 지방도[우면산로]
 
7. 노선도
 

 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의 모현분기점은 과천방향 진출, 괴산방향 진입만 가능합니다.
여기서부터 제한속도는 120km/h입니다.

분당 도심 구간은 대심도, 지하터널로 통과합니다.

터널 천장부에 설치한 표지

수지분기점 진출 지점은 지하에 위치하게 됩니다.

과천IC, 우면산로 해당 구간 지하화 계획이 있어서 실제로 건설된다면 조금 다른 모습이긴 하겠습니다.

  앞으로 설계속도 140km/h 이상의 고속도로가 지어진다면 우리나라의 교통사정, 교통문화를 고려할 때, 반드시 왕복6차로 이상으로 지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. 추월차로가 반드시 비워지도록 충분한 계도가 필요할 것이고, 수시로 전광판에 문구를 표출시켜 운전자들에게 상기해줘야 할 듯 합니다.
  화물차는 주행은 3차로, 추월은 2차로로 하는 것이 기본이지만, 잘 지켜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같네요.
 
  아시다시피, 세종포천고속도로 구리-세종 구간 착공 전, 해당 구간을 설계속도 180km/h의 한국형 아우토반으로 만든다는 뉴스가 종종 나왔습니다. 그보다 조금 더 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일부 구간 등 몇몇 고속도로의 제한최고속도를 120으로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한 적이 있으나,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. 근래 광주-영암 초고속도로 이야기가 나왔는데, 이것에만 집중하지 않고 기존 도로의 개량 및 제한속도 향상 방안, 다른 지역의 초고속도로 신설 검토 등으로 확대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

728x90